창립 51주년의 해
"성숙한 교회를 이루게 하소서: 승리하는 교회" (계 3:21)
3) 전도와 선교
(1) 전도와 선교에 대한 기본 이해
전도와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이며, 교회와 성도의 핵심 사명임을 생각해야 하며, ‘얼마나 많이’를 생각하기 이전에 한 사람의 선교사, 한 곳의 선교지를 위해서라도 진실되게 기도하고, 지원하고, 할 수 있는 만큼 여러가지 방식으로 선교 사역에 동참하려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아울러, 전도와 선교는 우리가 주고 베푸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도리어 받는 것임을 깨닫습니다. 우리가 전도함은 우리의 신앙을 선포하는 것이며, 그 선포를 통하여 우리의 신앙이 더욱 견고해지고 성장하게 됨을 경험합니다. 또한 우리가 물질과 시간을 쓰고 헌신함으로 선교지에 무엇인가를 주고 오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 선교 사역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혜를 주시고, 치유하시는 은혜를 경험하게 됩니다. 뉴헤이븐한인교회는 기도하는 선교, 보내고 후원하는 선교와 함께 직접 가는 선교를 추구합니다. 아울러 성도 한 사람을 한 사람의 작은 선교사로 양육하여 나의 삶의 자리에서 전도와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게 되기를 소망하고 있습니다.
(2) 전도와 선교의 원칙들
① 말씀과 복음 전파 중심
전도와 선교는 기본적으로 사회봉사가 아니라 한 영혼을 구원하는 것이므로 말씀과 복음을 전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그 위에 다양한 형태의 선교적 행위(의료, 봉사, 구제 등등)가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② 성령님이 주도하시는 선교
사도행전에 나오는 선교는 성령 주도적 선교였습니다. 선교는 인간이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하시며, 인간은 그저 도구로 쓰임 받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성령께서 이끄셨던 사도행전의 선교의 모습은, 자칫 인본주의적 구제와 봉사로 전락할 위험이 있는 현대 선교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라는 도전으로 다가옵니다.
③ 국내와 국외 선교의 조화
과거와 달리 현대사회로 올수록 선교의 개념과 영역의 패러다임 쉬프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기독교 국가들의 급격한 세속화로 말미암아 이제는 세계의 모든 곳이 선교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에서, 국내와 국외의 균형을 맞추어 나가는 선교전략이 미래지향적인 전략임을 생각해 보게 됩니다.
④ 우리교회의 전도와 선교
정기적 해외 단기 선교(중남미), 해외 한인 선교지 지원(35곳), 콜럼비아개혁신학교(콜럼비아 보고타), OMSC (Overseas Ministries Study Center), Hamden High School, Columbus House (Homeless Shelter), IRIS (난민사역), KGMLF (한국글로벌선교지도자포럼) 등 기관 지원, 노회를 통한 선교지 및 기관 지원 (Ghana Maternity Ward, Chasefu Theological College, Zambia), 선교지 현지 지도자 양성 지원, 선교여행(선교지 방문, 탐방, 위로).